※ 어떠한 명목으로든 금융회사는 전화로 비밀번호나 금융거래정보를 묻지 않습니다.
※ 금융회사 등을 사칭하여 대출을 권유하거나 보안강화 조치를 요구하는 경우금융사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.
※ 이유를 불문하고 대출 실행전에 고객에게 먼저 수수료등의 명목으로 입금을 요구하는 경우 100% 대출빙자사기입니다.
※ 개인정보 불법유통 및 금융사기피해관련 사항은 경찰청(☎112) 또는 금융감독원(☎1332)으로 즉시 신고하시기 바랍니다.
① (보이스피싱)전화로 공공기관이나 금융회사 직원을 사칭하며 피해자를 속여 자금이체 등을 유도하는 수법
▶공공기관과 금융회사는 결코 정보유출·보안강화절차 등을 이유로 창구·ATM기기나 텔레뱅킹 사용을 유도하지 않습니다.
② (파밍)PC를 악성코드로 감염시켜 네이버 검색등을 이용시 피싱사이트로 유도,금융거래정보를 입력토록 하여 자금을 가로챔
▶경찰청에서 개발하여 무료배포하고 있는 파밍방지 프로그램("Pharming cop")을 설치·활용하시기 바랍니다.
③ (메신저피싱)카카오톡,네이트온 등의 ID도용·무작위접속 등의 방법을 통해 피해자의 지인인 것처럼 행동하면서 '급전을 요구' 하여 금전을 가로채는 수법
▶메신저 등을 통해 지인으로부터 '급전을 요청'하는 메시지를 받았다면 반드시 유선상으로 지인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셔야 합니다.
④ (스미싱)무료쿠폰 등의 문자메시지를 누르면 악성 앱을 설치, 소액결제용 SMS 인증번호를 탈취하여 휴대전화 소액결제 피해
▶출처가 불분명한 문자메시지는 삭제하시고, 한국인터넷진흥원(KISA)에서 배포하는 스미싱방비용 앱폰키퍼(phone keeper)를 설치해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.
⑤ (대출빙자사기)금융회사 직원을 사칭하여 대출을 주선하면서 보증보험료,전산비용 등 명목으로 수수료 송금을 요구하고, 인출 후 잠적
▶전화,문자메시지 등을 통한 대출모집인의 저금리 전환 대출 약속은 거짓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 경우 대출권유 모집인의 정식등록여부를 확인* 하셔야 합니다
※대출모집인 통합조회시스템(www.loanconsultant.or.kr)